나는 Flutter 개발자다. 그러니까 당연히 프론트 엔드 개발자다. 이전에 코틀린으로 안드로이드 개발을 하기도 했었지만, Flutter를 배운 후로는 그 생산성에 반해 코틀린은 거의 쓰지 않게 됬다. 2년 정도 된것같다. 그래서 다시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개발을 하라고 하면, 금방 능숙하게 하지는 못할 것같다. OS기능에 크게 의존하는 기능을 개발할 기회가 없었다.
언젠가는 풀 스택 개발자가 되야 한다고 생각도 하고 있었고, 마침 개인앱을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백 엔드를 배워가며 개발하면 어떨까 하고 생각하며, 여러 백 엔드 자료를 찾아보았다. 그 와중에 발견한 것이 mongoDB atlas 서비스인데, 이 서비스를 사용하면 AWS나 스프링에 대한 러닝커브를 많이 줄일 수 있을 것 같았다. Flutter 프레임워크에서 mongoDB atlas서비스를 사용하려면 mongoDB의 realm을 사용해야 되는 것 같아, 개발자료를 찾아 보았다. 어찌 된것이 정말 자료가 부족했고, 한글로 된 포스팅은 거의 전무 했다.
알고 보니 mongoDB realm이 Flutter를 지원한지 겨우 한 달 정도 밖에 되지 않았었다. 공식개발문서에만 의존해서 개발을 해나가야하는 상황에 처했다. 그래서 Flutter to Realm에 대한 부족한 한글 포스팅에 기여하고, 나 또한 공부한 것들을 잊지 않기 위해 Flutter to Realm포스팅을 해나가려한다.
하지만 프론트 엔드 개발자인 만큼, 서버환경과 API를 세팅해 본적이 없고, 사용해본 데이터베이스도 Firebase의 Firestore같이 러닝 커브가 적은 NoSQL 데이터베이스밖에 없다. 그래서 개발 포스팅의 질을 기대할 수 는 없을 것 같다. 아마 공식개발문서의 번역에서 내가 시행착오를 겪은 부분 몇몇개를 추가해서 포스팅하는 정도의 수준이 되지 않을까 싶다.
*레드필 콘텐츠와 개발블로그를 함께 운영하는 이유는 모든 개발자가 그런 것은 아니지만, 개발자들이 이 사회가 하고 있는 베타화(사회적 거세)를 극복하기 힘든 경우를 많이 봐왔고, 그들이 가진 가치에 비해 내려치기 당하고 연애와 결혼 생활에서 문제를 겪는 경우를 많이 봐왔기 때문이다. 레드필 지식이 가장 필요한 사람들이라고 판단했다. 같은 직업을 가진 동질감, 동료의식도 있다.
'개발 > Flutter to Realm' 카테고리의 다른 글
[Flutter to Realm-3] Realm SDK 설치 (0) | 2023.05.07 |
---|---|
[Flutter to Realm-2]compass 연결하기 (0) | 2023.05.06 |
[Flutter to Realm-1] MongoDB Atlas가입 (0) | 2023.05.05 |
댓글